
https://youtu.be/CIGTZpuLSmk 성지순례일 : 2021. 5. 13 죽림굴 (부산교구) :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억새벌길 220-78 오늘은 성지순례를 하면서 두번째로 힘들게 순례했던 죽림굴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차량으로 접근할수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등산을 해야하는 순교사적지입니다. 차량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곳은 울산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산 76-1 을 찍고 오면 주차장이 있습니다. 주차를 하고 나면 어디선가 관리인이 차를 몰고 등장하시는데 (하루)5천원 주차비를 받습니다. 주차를 하고 바리케이트가 쳐있는 등산로로 올라가면됩니다. 이곳에서 죽림굴까지는 약 3.5km 1시간 정도 소요되는 거리입니다. 거의 평지가 없고 가파른 임도라서 쉽지 않은 길입니다. ※ 주민이 돈을 받고 차..

https://youtu.be/8t7pDQIG4HY 순례일 : 2021. 4. 17 수영 장대 순교 성지 (부산교구) : 부산시 수영구 장대골로 57번길 3 (광안동 546-4) *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 수영장대골은 당시 조선 시대 경상도의 동쪽을 수비하던 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이 있던 곳입니다. 그리고 장대는 지휘관이 군사들을 훈련할때 올라가서 지휘를 하는 곳으로 지금 시대로 보면 연병장에 사열대라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장대는 간혹 중죄인의 사형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박해시대에는 천주교 신자들의 처형장이 되었습니다. 부산 영남지방 천주교 박해 부산지역의 박해가 크게 시작된 것은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사건이 있은 뒤였습니다. 남연군묘 도굴사건은 1868년 5월 독일 상인 오페르트 일당이 흥선대원군의..

https://youtu.be/6EYVyAgFfJo 성지순례일 : 2021. 4. 17 오륜대 순교자 성지 (부산교구) : 부산시 금정구 오륜대로 106-1 오륜대 순교자성지는 부산에서 순교하신 8분의 묘소와 한국순교성인 26위의 유해를 안치한 순교자 성당 그리고 오륜대 한국순교자 박물관이 있는 곳입니다. * 복자 이정식 요한, 복자 양재현 마르티노 성지에 들어가면 이정식 요한과 대자였던 양재현 마르티노 두 복자의 동상이 보입니다. 성지사무실 출입문 왼쪽벽에 순례자도장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한국천주교성지순례 (3판)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한국순교복자수녀회에서 설립한 박물관입니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는 성 김대건 신부 순교 100주년이 되던 1946년에 복음선포와 순교자현양을 목적으로 창설이 되었는데요..

https://youtu.be/D0jQg1VCJYg 순례일 : 2021. 3. 25 복자성당(대구대교구) : 대구시 동구 송라동 22 복자성당을 들어가면 가장 먼저 세분의 복자 묘가 보입니다. 병인박해 때 순교한 이양등 베드로, 김종륜 루카, 허인백 야고보 복자 묘 입니다. 세분의 복자는 언양 죽령리 공소 지역에 살다가 더 안전한 피난처를 찾아 가족을 이끌고 경주 단원산 소태골의 범굴에 숨어 살게 됩니다. 하지만 1868년 경주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경주 진영에서 문초를 받은뒤 울산 병영으로 이송되어 울산 장대벌에서 1868년 9월 14일 군문효수형으로 순교합니다. 세분의 유해는 허인백 복자의 부인이 관헌의 눈을 피해 동천강 둑에 가매장하였다가 경주 진목정 도매산에 이장합니다. 그후 대구 감천리 묘지를 거..

https://youtu.be/18cUwIDCyhA ■성 이윤일 요한 (李尹一 John, 1816-1867) 충청도 내포지역 홍주 출생 여우목 공소 회장 1867. 1. 21 대구 남문 밖 관덕정에서 순교 1968. 10. 6 로마 성 베드로 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복자위에 오름 1984. 5. 6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을 위해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 반열에 오름 이윤일 요한 성인은 여우목성지에서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여우목교우촌에서 공소회장이었던 이윤일 요한 성인은 1866년 병인박해때 체포되어 상주감영에서 문초를 껶고 경상감영(대구)로 이송되어 1867년 1월 21일 관덕당(현.관덕정순교기념관)에서 순교하십니다. 성인의 유해는 관덕당 형장 근처에 임시로 매장되었다가..

https://youtu.be/G1XqA-T8_hg 안녕하세요 성지순례하는 남자 이베드로입니다. 오늘은 추자도 황경한의 묘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21年 4月29日 추자도를 가는 방법은 해남, 완도, 제주도에서 배로 갈 수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목포에서 가는 방법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기 때문에 세 곳 중 한곳에서 배를 타고 출발해야 합니다 시기에따라 배가 뜨는 시간이 달라지는데 제가 방문했던 4월 29에는 해남에서 출발하는 배보다 완도에서 07:40 출발해서 하추자항에 10:20에 도착하는 배가 가장 이른시간에 추자도에 도착하는 배였습니다. 저는 1박2일간 추자도올레길을 걸으면서 성지를 순례하려고 했기 때문에 최대한 이른시간에 추자도를 도착하는게 중요했습니다. 예약싸이트 한일 고속 http://www...

https://youtu.be/UXIcxNxUFr8 안녕하세요 성지순례하는 남자 이베드로입니다. 오늘은 대구대교구 두곳의 성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새방골 성당(대구대교구) : 대구시 서구 새방로 27길 9 새방골은 1860년 경신박해 전후부터 신자들이 살기시작한 교우촌입니다. 1882년부터 경상도 지방의 선교를 받고 있었던 김보록 로베르 신부는 1885년 경북 칠곡 신나무골에 거처하다가 1888년 새방골로 거처를 옮기게 됩니다. 이후 로베르 신부는 계산 주교좌 성당 초대 주임신부로 부임하는데 이곳 새방골 성당은 대구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이자 현재 계산성당의 전신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순례도장함은 성당의 출입문 옆에 있습니다. ■경상감영과 옥터 (대안성당) : 대구시 중구 서성로 16길 77 성지순례 ..

https://youtu.be/07wqvzl-ALo 안녕하세요 성지순례하는 남자 이베드로입니다. 오늘은 김천황금성당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성지순례일 : 2021. 3. 25 김천황금성당 (대구대교구) : 경상북도 김천시 학사대길 64 김천지역 천주교의 전파는 1866년 병인박해가 끝난뒤 박해를 피해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넘어온 신자들이 교우촌을 형성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901년 초대 주임 김성학 신부가 자라밭골(현 황금동)에 초가 한채를 구입하여 성당으로 사용하다 1934년 고딕양식의 성전을 신축(1936년 축성) 하였고 2000년에는 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성전을 새로 건립하게 됩니다. 기존 구성당을 그대로 보전하고 새 성전을 지었기 때문에 붉은 벽돌의 고딕식 옛 성당을 만나볼 수 가 있었습니다...

https://youtu.be/qOXLmf6B3NY 안녕하세요 성지순례하는 남자 이베드로입니다.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태동지 , 한국 레지오마리애의 첫도입지 가톨릭 목포 성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가톨릭목포성지 (광주대교구) : 전남 목포시 노송길 35 전남지역에 천주교가 본격적으로 자리잡기 시작한때는 1866년 병인박해를 피해 온 교우들에 의해 신앙공동체가 형성되면서부터 입니다. 교우촌이 점차 증가하면서 1896년 8대 교구장 뮈텔 주교는 목포본당(현재 산정동본당)을 신설하고 전남지역과 제주지역을 관할하게 합니다. 1933년 아일랜드 성골룸반외방선교회가 파견되어 광주교구 설정을 준비하기 시작하여 1937년 대구대목구에서 분리하여 광주지목구가 설정되면서 교구의 역할을 하기 시작합니다. * 1913 목포성..

오늘은 서울순례길에 포함되지 않은 서울교구 두곳의 성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youtu.be/bQJ8DfOZQMU 성지순례일 : 2021. 2. 13 용산 성직자 묘지(용산성당)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15길 37 용산성직자 묘지가 있는 이곳은 1887년 서울교구에서 용산신학교 건립과 묘지 조성을 위해 매입하였습니다. 1889년 용산 신학교가 건립되면서 교구 성직자 묘자로 정해졌고 1941년 부터는 용산 본당이 설립되면서 묘역을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초대 조선대목구장이신 브뤼기에르 주교를 포함하여 4위의 주교, 65위의 사제, 2위의 신학생, 1위의 치명자 등 71분이 모셔져 있습니다. 오늘은 초대 조대선대목구장이신 브뤼기에르 주교 이야기를 해보려합니다. 1831년 9월 9일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은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