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마원성지 (안동교구)
경북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 600-1
마원성지는 복자 박상근 마티아의 묘가 있는 곳입니다.
박상근 마티아 복자는 병인박해 당시에 칼레 신부를 자신의 집(처남집으로 추정)에
피신 시켰다가 발각이 되어 순교하게 됩니다.
박상근 마티아 복자의 이야기를 하려면 먼저 칼레 신부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합니다.
칼레 신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입니다.
1861년 리델신부, 랑드르신부, 조안노신부와 입국한 칼레신부는
손골에서 조안노 신부와 함께 조선말을 배우고
경상도 서부지역 중 상주, 문경 일대로 전교활동을 하였습니다. (선종하신 최양업 신부 지역 중 일부)
1866년 병인박해 당시 한국에 파견되었던 많은 신부들이 순교하거나 병으로 선종하였고
살아남은 세명의 신부 중 한명이었던 칼레신부는 당시 한실마을에 숨어 있었습니다.
문경현에서 아전이었던 박상근 마티아는
1866.3.15 경에 한실마을에 좁쌀을 사러 갔다가
칼레 신부가 숨어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신자마을로 알려진 한실에 있는것보다 등잔밑이 어둡다고
오히려 문경관아 근처에 숨는게 더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관아근처 처남의 집에 칼레신부를 모시게 됩니다.
3일째 되는날밤 칼레신부가 방문을 잠그는것을 잊고 담배를 피고 있었는데
마침 이웃주민에게 발각이 됩니다.
칼레신부는 동이 트기 전 박상근 마티아와 함께 문경을 빠져나와 산을 넘고 계곡을 넘어서
백화산으로 중턱에 도착합니다.
박상근 마티아가 체력이 떨어져서 더 이상 걷기 힘들게 되자 칼레 신부는 그의 안전을 염려해 집으로 돌려보냅니다.
집에 돌아간 박상근 마티아는 얼마뒤 숙모 홍마리아와 친척 박 막달레나와 함께 체포되어 상주로 끌려가고
문초와 형벌과 함께 배교를 강요당하지만 끝까지 신앙을 지켜냅니다.
결국 1867년 1월 옥중에서 교수형으로 순교합니다.
(상주옥터)
한실마을로 피해온 칼레신부는 이후 수많은 위험을 넘기며
문수마을, 한실마을, 연풍마을, 소로골 등으로 피신하다가
10월 페롱신부와 만나 중국으로 넘어갑니다.
이후 여러차례 한국으로 입국을 시도했으나
타국에서 박해를 피해 전교활동을 하며 건강이 악화되어 프랑스로 귀국하게 됩니다.
프랑스에서 본당신부와 수도생활을 하다 모벡수도원 산하 봉쇄 수녀원에서 1884년 선종하게 됩니다.
순례자도장은 주차장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한국천주교성지순례 책자(3판)
도보순례길과 성지를 담당하시는 신부님의 연락처입니다.
(마원성지, 여우목성지, 진안리성지, 한실교우촌 담당)
정도영 베드로 신부 010-9944-0145
저는 이날 하루동안 신부님의 안내를 받아서 성지를 돌아보았습니다.
나중에는 한번 더 방문해서 도보길을 걸어보고 싶네요.
박상근 마티아는 본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칼레 신부가 본국으로 간뒤
수도회 수녀님들이 칼레신부님의 전기를 출간하게 되고
1977년에 유학을 간 안동교구 신부가 그 책을 발견하면서
박상근 마티아의 이야기가 알려집니다.
이후 1980년대에 마원동네 신자분이 자기 집안에 순교자의 묘가 있다고 문경본당신부에게 알리면서
묘를 발굴하게 됩니다.
본래 원묘터는 이곳이 아닌데 성지를 조성하면서 이장을 해왔습니다.
원묘터로 이동해보겠습니다.
*박상근 마티아 원묘터
경북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 산68
박상근 마티아의 묘는 본래 이처럼 길 옆에 있었습니다.
복자께서 후손이 없어서 묘를 관리해 줄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지나가는 사람이 풀이라도 뽑아주라고 길옆에 묻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문경서중학교
경북 문경시 문경읍 문경서중길 1
문경 관아가 있던 곳입니다.
근처 어딘가 집에 박상근 마티아가 칼레 신부님을 모셨을 겁니다.
관아는 없고 주춧골만 남아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건물은 옛관청에 딸려있던 숙소입니다.
관산지관 (冠山之館,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본래 세등분으로 좌우대칭인데 오른쪽이 소실된 모습입니다.
박상근 마티아는 추정컨데 붙잡힌 직후 이곳 관아로 끌려왔다가
상주옥터로 끌려갔을 겁니다.
* 문경성당 (안동교구)
경북 문경시 문경읍 청운로 95
알빈(Alwin Schmid, 1904~1978) 신부 설계
알빈 신부가 설계한 문경성당입니다.
제대에 박상근 마티아 복자의 유해 일부가 모셔져 있습니다.
* 한실교우촌
경북 문경시 마성면 상내리 999
칼레 신부님의 사목지이자 피신처였던 한실교우촌으로 가보겠습니다.
순례객들이 버리고간 쓰레기 때문에 동네 주민들과 갈등이 생겨서
현재 한실교우촌으로 진입하는 길은 막혀 있습니다.
차로 방문하시려면 담당신부님께 연락을 드려야 합니다.
이곳은 교우촌이 세가구씩 다섯개가 계곡을 따라서 집터가 있었다고 합니다.
병인 박해 이후에는 동학을 하는 사람들이 살았고요.
본래 줄무덤처럼 무덤이 있었는데 수해로 떠내려갔다고 합니다.(교우들의 무덤인지는 확인 안됨)
칼레 신부님이 떠난 뒤 이곳 신자들도 체포되어
공소회장 김예기, 김인기 형제는 여우목송소에서 체포된 이윤일 요한 회장과 함께 대구 관덕정에서 순교하게 되고
나머지 14분의 교우들은 상주 옥에서 순교하게 됩니다.
김 아우구스티노, 김 토마스, 또 다른 김 아우구스티노, 김 안토니오,
김 베네딕토, 김 빈첸시오, 김 프란치스코, 김 생원,
또 다른 김 생원, 장 서방, 장 서방 부인, 김 요셉, 김 베드로, 모 막달레나.
한실교우촌은 기록이나 순교자들의 묘 등이 남아있는게 너무 없어서 성역화 하면서
상주옥에서 순교한 서유형 바오로와 그의 형수 박루시아의 무덤을 이곳으로 이장합니다.
문경 도보성지순례를 오신다면 정도영 베드로 신부님께 미리 연락을 드리면
방문객과 시간을 맞춰서 신부님께서 직접 코스를 안내해주시고 순례 미사도 해주십니다.
명상센터와 문경성당에 숙소가 있으니 1박~2박까지 다양한 코스로 걸어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편에서는 문경성지순례 마지막편으로 여우목성지, 여우목교우촌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많은 기대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MAjlBRKQmWImUOoDmTrXxg
구독하시고 알람체크해주시면 영상업로드 될때마다 빠르게 보실수있습니다.
제 채널 구독 안하셨으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MAjlBRKQmWImUOoDmTrXxg
네이버TV https://tv.naver.com/peterlee
'한국의 가톨릭 성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티성지, 한국 천주교회의 비밀교우촌이자 최초의 신학교 (최양업 신부의 삶) (0) | 2020.12.03 |
---|---|
여우목성지, 여우목교우촌 (이윤일 요한 성인과 서치복 요셉 가정의 전교로 이뤄진 교우촌) (0) | 2020.11.28 |
진안리성지 (안동교구), 최양업 신부님의 선종지 (0) | 2020.11.17 |
수리산성지 (수원교구), 최경환 성인의 묘소가 있는 교우촌 (0) | 2020.11.12 |
'청년 김대건의 길을 가다' 스탬프 투어 (청년 김대건 순례길, 은이성지순례길 / 은이성지, 골배마실성지, 고초골공소, 미리내성지, 손골성지) (0) | 202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