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톨릭 성지

천주교 서울순례길 (3코스 일치의 길)

이 베드로 2021. 4. 27. 17:07

youtu.be/ZtRKRzd6alE

 

안녕하세요 성지순례하는 남자 이베드로입니다.
오늘은 천주교 서울순례길 3코스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성지순례일 : 2021. 2. 13 (일부 2021. 2. 8)

 

 

 

서울대교구 순교자현양위원회 홈페이지 (https:/martyrs.or.kr/)

천주교 서울순례길 3코스는 일치의 길입니다.
일치의 길은 3개의 길중 가장 길이가 긴 순례길입니다.
하지만 왜고개성지에서 마지막 삼성산성지까지 10km의 길은
도보가 아닌 차량으로 가는 길이라 
사실 도보 20km, 차량10km 의 길입니다.

 

 

1. 중림동 약현성당
서울시 중구 청파로 447-1 

※ 2코스 마지막에 촬영을 해서 야간 영상입니다. 감안해주세요.

명동성당보다 6년 먼저 세워진 약현성당은 우리나라 최초의 고딕식 성당입니다. 
서소문밖 네거리 순교자들의 넋을 기리고 정신을 본받기위해 
서소문성지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위에 세워졌습니다.

※ 약현성당의 도장은 2코스 마지막에 찍었습니다. 

 

 

2. 당고개순교성지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139-26

당고개 순교성지는 서소문밖네거리, 새남터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순교성인을 탄생시킨 순교성지입니다.
9분의 성인과 1분의 성인이 이곳 당고개에서 순교하셨습니다.

 

특히 당고개순교성지는 최양업 신부님의 어머니 
이성례 마리아 복자가 순교한 곳이라 어머니의 성지라고도 불립니다.

제가 방문했을때는 두번 모두 코로나로 성지가 닫혀 있었습니다.
순례도장은 문에 걸려 있습니다.

 

 

 

3. 새남터 순교성지
서울시 용산구 이촌로 80-8

새남터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중죄인의 처형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최초의 외국인 사제 주문모 신부를 시작으로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를 거치며
김대건 신부님을 비롯하여 성직자11명, 교회지도자3명이 순교하였습니다.

 

새남터기념관은 코로나로 운영을 하지않고 있었습니다.

순례도장은 출입문 앞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대성당에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유해를 비롯하여 9분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습니다.

 

 

4. 절두산 성지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 6

절두산의 본래이름은 잠두봉이었습니다. 
누에가 머리를 치켜든 것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었습니다.

 

*오성(五聖)바위
다블뤼주교, 위앵신부, 오메트르신부, 황석두 루카, 장주기 요셉 다섯분의 성인이 
처형을 당하러 갈매못으로 끌려가던 도중
이 바위 위에 앉아서 (영광스러운 순교를 맞이하게 되어) 감사 기도를 드리고 성가를 불렀다고 합니다.

순례자도장은 '한국순교성인시성기념교육관'으로 들어가셔서 좌측에 있습니다.

*오성(五聖)바위
다블뤼주교, 위앵신부, 오메트르신부, 황석두 루카, 장주기 요셉 다섯분의 성인이 
처형을 당하러 갈매못으로 끌려가던 도중
이 바위 위에 앉아서 (영광스러운 순교를 맞이하게 되어) 감사 기도를 드리고 성가를 불렀다고 합니다.

제가 방문했을때 코로나로 인해
성당과 기념관은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서울순례길 어플을 이용하시면 편하게 순례하실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다운)

 

5. 노고산 성지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 앞

 

노고산 성지는 처형장들과 가까운 이유로 수많은 순교자들의 유해가 머물다 가셨던 곳입니다.

성지에는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세분 현양비가 있습니다.

1839년 9월 21일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세분의 성인이
새남터에서 순교하신 뒤 새남터 한강변에 묻혔는데
스무날 정도 지난 뒤
교우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감시를 피해 세분의 유해를 거두는데 성공합니다.

세분의 유해는 큰 궤에 넣어 노고산에 매장이 되었고
4년 뒤 삼성산으로 이장됩니다.

순례도장은 나무함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6. 용산예수성심학교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19길 49

1855년 배론에 세워진 최초의 신학교를 잇는 용산예수성심학교입니다.
현재 신학교는 혜화동으로 이사를 갔고 
남겨진 땅에 수녀원과 성심학교를 세우게 됩니다.
현재는 성심여중고만 남아있습니다.

역시 코로나로 인해 들어갈 수 없고
경비실에서 순례도장만 찍을 수 있습니다.
저는 설연휴때 가는 바람에 도장을 못찍고 며칠뒤 다시 방문해서
도장을 찍었습니다.

 

 

7. 왜고개성지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40길46

현재 군종교구가 자리하고 있는 왜고개는 
와현(瓦峴) 또는 와서현(瓦署峴)으로 불리던 곳으로
기와와 벽돌을 구워 공급하던 와서에서 유래했습니다.
명동성당과 약현성당 그리고 용산예수성심학교를 지을때 사용했던 벽돌도 이곳에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곳 왜고개 성지는 병인박해때 새남터에서 순교하신 베르뇌 주교 등 10위의 순교자가 모셔졌던 곳입니다.
순례 도장은 성지에 들어가셔서 오른쪽 벽 장식장 안에 있습니다.

이제 차량으로 삼성산(성지)까지 이동을 하면 됩니다.
저는 3코스를 걷기전에 아침 일찍 미리 삼성산 성지를 차로 갔다왔습니다.

 

 

 

8. 삼성산성지
서울시 관악구 호암로 545

서울에 있는 성지들은 대부분 운영시간이 있지만
삼성산 성지는 산속 등산로에 있기 때문에 새벽일찍 방문하셔도 됩니다.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오른쪽 뒤쪽 산길로 올라가면 십자가의 길이 나옵니다.
십자가의 길을 따라가다보면 성지에 도착합니다. 

1839년 기해박해때 새남터에서 순교하신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세분의 성인이
58년간 안치되었던 곳입니다.

현재있는 묘는 가묘이고 세분의 유해는 명동성당 지하성당에 안치되어 있습니다.

야외 제대를 지나서 길을 따라 내려가면 작은 광장이 나옵니다.
광장의 왼쪽으로 올라가서 정면으로 길을 따라 가면 나무 선반이 나오는데
그 안에 성지 도장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240여년의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가 담겨있는
천주교 서울순례길을 모두 둘러보았습니다.

코로나로 밀집지역에 대한 위험도가 커지고 있는 요즘
마스크를 쓰고 가족과 함께 천주교 순례길을 순례하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 각 성지 영상

천주교 서울순례길 여권세트 언박싱 : https://youtu.be/YVJAbQn_JAM

약현성당 : https://youtu.be/mEzsyljPCQs

당고개순교성지 : https://youtu.be/0Hn4R0cdqIU

새남터순교성지 : https://youtu.be/PpLoaE1EtXs

절두산성지 : https://youtu.be/9k3E9zG-Ic8

노고산성지 : https://youtu.be/ekC3CCk2kM4

왜고개성지 : https://youtu.be/ZyKqzc5D8w4

삼성산성지 : https://youtu.be/ekC3CCk2kM4